정보시스템이란?
- 조직체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에 처리(가공)하여 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생성하고 분배하는 수단
-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경영 정보 시스템, 구사 정보 시스템 인사 행정 정보 시스템 등으로 사용된다.
정보와 자료
- 자료(Data) :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으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
- 정보(Information) :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로, 자료를 가공(처리)해서 얻는 결과물
- 자료 처리 시스템 : 정보 시스템이 사용할 자료를 처리하는 정보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으로, 처리 형태에 따라 세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일괄처리시스템
일괄처리시스템은 시스템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류하고 정렬시킨 다음에 처리하는 시스템 중심의 데이터 처리방식이다. 모든 데이터를 모아서 한번에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각 트랜잭션 당 처리 비용이 적게 들고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작업 수가 많아서 성능은 높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측면에서 본다면 데이터가 즉시 처리되지 않기 떄문에 대기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반환 시간은 늦지만 하나의 작업이 모든 자원을 독점하므로 CPU 유휴시간(CPU가 쉬는 시간)이 줄어든다.
- 테이프와 같은 순차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업무에 적합하다.
- 급여계산, 회계 마감 업무, 세무 처리, 수도/전기요금 처리, 연말 결산 등의 업무에 사용된다
온라인 실시간 처리 시스템
온라인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발생 즉시, 또는 데이터 처리 요구가 있는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단순히 온라인 처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사전 준비 작업 없이 곧바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데이터는 생성되는 그 출처로부터 곧바로 컴퓨터에 전송되고, 전송된 데이터는 컴퓨터가 즉시 처리해서 그 결과를 원하는 장소로 보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단점으로는 원격 터미널들과 계속적으로 통신을 유지해야하기때문에 통신 제어기가 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다
- 온라인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 중심의 처리 방식이다.
- 처리 시간이 단축되고, 처리 비용이 절감된다.
- 우주선 운행이나 레이더 추적기, 핵물리학 실험 및 데이터 수집, 전화 교환장치의 제어, 은행의 On-Line 업무 등 시간에 제한을 두고 수행되어야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분산 처리 시스템
분산 처리 시스템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대의 컴퓨터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하느 것처럼 운영하는 방식이다.
분산 처리 시스템은 지리적으로 분산 되어 있는 처리기와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로 연결시켜 마치 사용자는 하나의 시스템인 것처럼 사용하도록 데이터를 처리해주는 시스템이다
- 각 단말기나 컴퓨터 시스템은 고유의 운영체제와 CPU,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 시스템의 구축이나 운영이 복잡한 반면, 신뢰성이 높고 확장이 용이하다.